파이썬 3

python 기초 3 (인덱스과 슬라이싱)

인덱스 : 여러개의 character가 포함되어 있는 문자열 내에서 특정 character를 저장하기 위한 것 슬라이싱 : 범위 값을 주어서 문자열 내에 특정 범위 위치에 있는 문자열(서브 문자열)의 추출 용도 일단 이 두개 비교부터 확실히 개념을 잡고 시작해야만 할 것 같다. 파이썬은 신기하게도 처음 시작을 '0'부터 센다. * 슬라이싱(slicing) 변수명[start(시작 인덱스) : end(종료 인덱스)] 변수명[start(시작 인덱스) : end(종료 인덱스) : step(건너뛰기)] 이때, 시작인덱스는 포함, 종료인덱스는 -1 위치까지 즉, 종료인덱스는 포함하지않고 슬라이싱 된다. 앞에서 리스트, 튜플, 셋, 딕셔너리가 있다고 했는데 이들도 인덱싱과 슬라이싱이 가능할까? 답만 먼저 말하자면, ..

python 기초2 (컨테이너 타입 - list, tuple, set, dictionary)

컨테이너 타입에는 리스트, 튜플, 세트, 딕셔너리 타입이 있고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은 성질이 있다. - 리스트:[ ] / 순서 O / 변경 가능 / 추가 및 삭제 가능 / 중복 생성 가능 - 튜플: ( ) / 순서 O / 변경 불가 / 추가 및 삭제 불가 / 중복 생성 가능 - 세트: { } / 순서 X / 변경 가능 / 추가 및 삭제 가능 / 집합의 성격이 있음 / 중복 생성 불가 - 딕셔너리: {key: value} / key-value 쌍을 가짐 / 변경 가능 / 추가 및 삭제 가능 리스트 생성 및 아이템 추가 > 아이템 추가 방법 리스트이름.append(추가할 아이템) : 리스트 가장 마지막에 아이템 추가 리스트이름.insert(인덱스 위치, 추가할 아이템) : 지정한 위치에 아이템을 추..

python 기초1 (데이터 형태, 조건문(if), 반복문(for))

파린이(?)가 써두는 파이썬 기초... 물어보지마세요 아는 게 없어요... 데이터 형태 1. 숫자 지료형(numeric) #정수형(integer) #실수형(float) #복소수형(complex) 2. 불리언 자료형(boolean) #bool(True, False) 3. 컬렉션 자료형(collection) #문자형(string, str): " "나 ' '에 넣어 사용함 #배열(list, tuple, dict, set) 리스트(list) - 여러 자료를 보관하기 위해 사용하며 순서가 있다. [ ]에 넣어 표시한다 ex. ['a', 2] 튜플(tuple) - ( )에 넣어 표시. 셋(set) - { }에 넣어 표시. 딕셔너리(dictionary) - {key: value, key:value,...}로 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