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E 퍼포먼스 마케팅 교육을 듣고 있는 요즘, GA에 대해 공부하고 있다.
교안은 올릴 수 없을 것 같다.
Redirecting...
analytics.google.com
> 웹로그 : 사용자의 로그를 기록한 것
크게 유입, 행동, 전환으로 이루어지고 행동은 들어온 이후에 나가는지, 어떤 페이지를 누르는지 유저의 "행동"에 관한 것이고 전환은 우리가 원하는 행동을 했는지 하지않았는지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구매, 구독 등이 전환이 될 것이다.
가입하기
구글 애널리틱스에 가입하기 위해 설정 > 계정만들기
1) 계정설정 : 계정이름 입력하기[보통 회사 이름 입력합니다], 아래 계정 데이터 공유 설정 모든 체크박스 체크로 입력
2) 속성 설정 : 속성이름은 소개사이트명을 기입한다 [여러가지 속성을 가질 수 있다 ex. 채용, 안내] / 보고 시간대, 통화는 한국을 기준으로 할 것이라면 모두 대한민국으로 변경해줘야한다.
3) 비즈니스 정보는 아무렇게나 해도 무관
그럼 이렇게! 창이 뜬다!
추적코드 심기
설정 > 추적정보 > 추적 코드 에 들어가면 웹사이트 추적이라고 뜨고 이렇게 길게 나오는데 이를 웹헤이지 <head>에 넣으면 된다. 예를 들어 티스토리에 심고 싶다면
설정 > 꾸미기 > 스킨 편집 에 들어가서 왼쪽에 html편집 > 복붙
이렇게 해주면 심어진 것이다. 다른 것도 이렇게 맨 위에 head에 넣어주면 된다고 한다.
다시 GA로 돌아가자!
빨간색 네모 클릭하면 옆에 생성한 계정일 애널리틱스 계정에 뜨고 속성 및 앱에는 GA3와 GA4에서 쓸 수 있는 속성이 뜬다. 옆에 속성 보기를 보면 3가지가 나온다. 여기서 master view를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될 것이다.
raw data - 손 대지 않고 쌓기만 하는 데이터
test view – 데이터 변형 ex. 필터
master view – 데이터분석할 때 가장 많이 쓰이는 데이터
이후에는 보고서 탭에서 모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위에서 유입, 행동, 전환에 대해 말했는데 여기서도 잠재고객(who - 사용자에 대해 궁금할 때), 획득(Where - 유입), 행동(행동), 전환(전환) 이라고 보면 편하다. 모든 메뉴를 외우려고 하지말고 쓰다보면 외워진다.
!!그럼 이제 실습!!
Q1. 우리 사이트 전체적인 사용자 규모는? [홈 > 사용자 : 1.5만명]
tip! 1.5만명으로 사용자가 많다고 볼 수 있나? NO! 비교기준, 주로 업계 평균 [타 이커머스 사이트 대비]보다 높은지 낮은지 비교하여 파악한다. 잠재고객 > 개요 에서 오른쪽 상단에 날짜를 선택하여 시간대 변경하며 비교하는 방법도 있다.
Q2. 우리 사이트의 22년도 사용자 규모는 괜찮은건가? [양호하다. 사용자는 11.88% 증가했고 이탈률은 떨어졌다. [기간 설정, 비교 대상 설정 가능함]]
위의 방법에서처럼 상단의 날짜를 선택하고 비교 대상을 체크하여 원하는 기간을 설정한 후, 적용을 누르면 다음과 같이 화면이 변한다.
Q3. 우리 사이트에 오는 사람들은 어떤 사람들일까? (= 어떤 사람들을 대상으로 프로모션을 할까 / 우리 사이트는 어떤 사람들이 좋아하는 컨셉/ 디자인으로 개편해야 할까?)
[나이:25-34세, 성별:남성, 관심사:쇼핑, 기술 관심사의 사람들이 많이 접근 / 비즈니스 관심사의 사람들의 구매 지역: 미국 – 캘리포니아, 접속기기: desktop / 휴대기기는 아이폰, 언어: en-us (미국식 영어)]
잠재고객 메뉴에서 인구통계, 지역, 관심분야, 모바일 등에서 확인가능하다.
?? GA에서 제공하는 정보가 정확한 수치인가? NO! 전체 사용자의 몇 %라고 써있다. 알려지지않은 사용자도 포함하고 있다.
Q4. 우리 사이트에 많이 오는 사람들(주요방문고객)은 어디서 많이 올까요? [획득 > 전체 트래픽 > 채널]
가장 많이 쓰이는 것들만 몇가지 보자면 다음과 같다.
direct – 직접 타이핑 / 즐겨찾기
paid search – 특정 키워드 검색 시, 광고 타고 들어옴
display- 배너광고
affiliates - 제휴사
organic search - 특정 키워드 검색 시, 아래 사이트 주소
referral - 누가 추천해줘서
여기서 상단 동그라미에 모든사용자와 세그먼트가 있는데 주요방문고객을 분석하고 싶을 때 세그먼트를 쓴다.
그럼 지금까지 한 것을 바탕으로 시각화를 진행해볼 차례이다. 나는 데이터 스튜디오를 사용하도록 하겠다.
Google Data Portal Overview
Connect Easily access a wide variety of data. Data Portal’s built-in and partner connectors makes it possible to connect to virtually any kind of data. See what data you can access Visualize Turn your data into compelling stories of data visualization ar
datastudio.google.com
오늘 해본 것은 주요고객 페르소나 대시보드를 제작한 것이다. 이것도 PPT와 같은 형태라 엄청 쉬운 편인데 궁금한 분들이 많다면 이 부분도 따로 작성해볼 생각이다. 그치만 오늘은! 시각화에 초점을 맞추는 거니까!!
5분만에 만든거라 허접하지만 이런 식으로 보고서를 만들면 된다:)
다음은 트래픽에 대해 조금 더 상세한 이야기를 들고 올 예정이다
'learning > market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켓컬리 관련 정보 (0) | 2022.08.26 |
---|---|
ep 01. 광고이야기 | 땡겨요 & 배달의민족 & 쿠팡이츠 (0) | 2022.07.30 |
GA 구글애널리틱스 하는 법 - 2 (0) | 2022.07.29 |
퍼포먼스 마케터 (0) | 2022.01.12 |
MECE와 LISS (마케팅 분석 방법) (0) | 2021.07.15 |